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주변을 둘러보는데 숙소 옆에 호수와 공원이 있어서 구경을 갔는데 벌써 구경을 마치고 오는 일행들도 있
다.
공원 옆 광장에는 북한의 김일성 동상만큼이나 큰 모택동 동상이 있고 중국건국 70주년을 열열히 경축한다는 문구도 있다.
이곳에 사는 원주민들이야 건국70주년이 자신들과는 상관이 없는 일이지만 자신들의 나라를 지키지 못했으니 어쩔 수 없이 감내
하여야 할 일이다.
동호광장에 있는 모택동 동상과 건국70주년경축 문구
동호광장의 조형물
돼지 얼굴을 한 조형물....어떤 의도가 있는지...이슬람은 돼지 자체를 교리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동호 안에 있는 건축물
올드시티 넘어로 보이는 사막과 같은 산들
올드시티..위험해서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다고...위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좀 더 당겨서...
천연상무주점이라고 쓰여진 호텔...다행히 관광지 주변에 있어서 편리했었다.
도시에서 자유롭게 시간을 가지고 둘러보게 되면 취향에 맞는 사람들끼리 또는 가보고 싶은 곳이 같은 사람들끼리 수시로 이합집
산(離合集散)을 하면서 목적지를 선택하게 된다.
모두 처음길이다가 보니 지도만으로 찾는 것이 그리 만만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면 어렷이 같이 가려고 한다.
이곳도 역사가 오래된 도시이기 때문에 역사적 유물들이 많이 있어야 하지만 지배자들이 자주 바뀌는 바람에 남아 있는 유물이
그리 많지 않고 이곳을 들르는 관광객들이 가 보아야 할 곳이 그리 많지는 않다.
이곳에서 제일 크다는 시장(바자르), 중국 청나라의 후궁이었던 향비가 묻혀 있다는 아바크 호자의 가족묘인 향비묘, 그리고 이곳
에서 가장 오래 되었다는 이드 카 모스크(Id Kah Mosque) 그리고 올드시티 등이다.
언제나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중에 우선적으로 선택을 하게 되는데 오전에는 향비묘를 보러 가기로 했다.
호텔에서 얻은 지도를 가지고 몇 명이서 버스를 타고 가기로 해서 물어물어 가면서 찾아 갔는데 그리 오래지 않아서 도착을 한다
향비묘의 입장료와 기념품을 파는 곳
입장권을 파는 곳과 기념품을 파는 곳이 화려한데....
향비묘는 본래 아팍 호자의 가족묘로 그 가족 중의 하나였던 청나라 건륭황제의 위구르족 후궁이었던 용비(容妃)의 묘(진짜묘는
하북성에 있고 이곳엔 의관만 묻혀있음)가 있어서 향비묘(香妃墓/샹페이 무)라고 불리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카스시에서 동북쪽으로 5km떨어진 하오한촌(浩罕村)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이슬람식 고묘건축예술을 따랐으며
1640년 전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곳은 높이 40미터에 아름다운 모자이크 첨탑과 원형 아치지붕이 궁전을 연상시킬정도로 화려하고 아름다운 곳으로 크게 문루
(門樓), 소 예배실, 대 예배실, 교경당, 주묘실(主墓室)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1948년 지진으로 묘의 중심을 이루고 있던 묘실이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1956년 56기를 복구 하였다고 하며, 1972년, 1974년,
1982년 세 번에 걸쳐 대대적으로 수리한 후, 1988년 국가 보호 문화재로 지정됐다고 한다.
들어가는 입구
담장 너머 보이는 것이 아팍호자의 가족묘이다.
들어가는 입구에 분수와 공원 그리고 회랑이 잘 만들어져 있다.
좌우로 늘어선 회랑
이슬람 사원형식을 띠고 있는 아팍 호자의 가족묘...이슬람 전통방식의 무덤형식이라고 한다.
이곳에는 향비의 옷만 있다고...
4방에 탑이 있고 탑에 전망대가 있다.
주변에 있는 묘지들
어물어진 것도 있고...
노란 천으로 덮혀 있는 것이 향비의 무덤이라고...인터넷에서(안에서는 사진을 찍지 못하게 한다.)
전투복을 입은 향비의 그림...이탈리아 사람으로서 청나라에 벼슬을 지낸 카스틸리오네가 그렸다는 <향비융장상(香妃戎裝像)>
이 그림에는 아래와 같은 글이 있다고...“향비는 회부(回部, 신강성 남부)의 왕비로서 자색이 뛰어났다.
태어날 때부터 그녀의 몸에서는 특이한 향기가 있어 나라 사람들이 이름하여 향비라 불렀다. 청나라 건륭제가 이 소문을 듣고
회부에 출정하는 장군 조혜에게 기필코 향비를 데려오도록 명하였다. 회부를 평정한 조혜는 과연 향비를 데리고 북경에 이르렀다.”
같은 향비를 그린 그림인데... 윗그림이 나중에 그려진 듯...
무덤 옆에 있는 이슬람 예배실
이곳은 대 예배실인 듯..
이슬람 전통양식의 기둥들이나 중국식이 가미되었다...나중에 우즈베키스탄에서 전통기둥들을 보게 된다.
에어컨 실외기가....
구경을 마치고...더워서 그늘을 찾아서 나오게 된다.
그늘이 없기 때문에 여름에는 덥다...
묘역에서 보면 이런 회랑이 보인다.
그늘 통로를 만들어 주려는 듯...
앞에 보이는 여자가 향비라고..향비묘 근처 건물에 있는 그림
향비 기념행사를 하는데..아마도 매일 하는 듯...물어 볼 곳도 없고 그냥 짐작을 할 뿐이다.
얼굴을 가린 사람이 향비인 듯
흰 옷을 입은 사람이 향비로
청나라로 떠나는 향비를 배웅하는 행사인 듯하다.
사실 이곳이 관광객들에게 유명해지게 된 것은 향비(香妃) 때문으로, 향비는 아팍호자 가문의 5대 후손으로 몸에서 향기(香氣)가
난다고 하여 향비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자색도 뛰어나고 몸에서 향기나 나는 것으로 유명해서 건륭황제의 후궁이 되었으나 후궁
이 되자 얼마 지나지 않아서 죽었다고 한다. 그의 죽음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설이 있다고 하며, 그의 실재 무덤은 청나라의 황제들
이 묻힌 북경의 동릉인 건륭제의 무덤 유릉비원침(裕陵妃園寢)속에 건륭제의 36명의 여인들과 같이 묻혀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녀의 유해는 동릉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슈카르 사람들은 124명의 카슈카르 사람들이 특별한 상여를 메고 3년 반이나
걸려 북경에서 향비의 시체를 운구한 다음, 호자가의 묘에 묻어 주었다고 믿고 있고 한다.
그리고 카슈가르 사람들은 요즘에도 죽은 뒤 이 향비묘 가까이에 묻히는 것을 바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