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3년 건축된 도다이지(東大寺)는 세계 최대의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사찰이자, 세계 최대의 목조 건물로 헤이안 시대 최고의 건축
물로 평가받고 있다. 본당인 금당(金堂)과 도다이지의 대문인 난다이몬(南大門)을 비롯한 8개의 국보를 보유하고 있는 사찰이
며, 나라 관광의 중심이기도 하다. 본당인 다이부쓰덴(大仏殿)에 들어가면 앉은키 15m의 청동불상이 눈에 들어오는데, 원래 있던
청동불상이 소실되어 기존 규모의 30%를 축소 재건한 것이다. 다이부쓰덴 뒤로 큰 기둥 아래 네모난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을 통
과하면 불운을 막아 준다고 한다. (백과사전)
동대사 대불전...대불전은 화재 이후 두 번 재건했다. 현재 건물은 1709년에 완공했으며 그 크기만 해도 길이 57m, 너비 50m에 달
하지만, 원래 세웠던 대불전 건물에 비해 사실상 30% 더 작게 만들었다. 이 대불전은 1998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목조 건물
이었고, 도다이지 대불전 모습은 나중에 일본 건축계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당초의 대웅전은 너비 86m, 길이 50.5m의 장대한 목조 건물로서 여기에는 높이 16m의 거대한 청동좌상인 비로자나불이 모셔져
있다. 원래의 건물은 1180년에 소실되었고 현재의 것은 18세기초에 복원된 것이다. 비로자나불도 복구를 거듭하다가 1692년에
완성되었다.(백과사전)
최초의 동대사 모습...양측에 100M가 넘는 목탑이 있었다고..
본당 앞에 있는 창문...
부처님이 바깥세상을 바라보게 하기 위해서라고...
대불전 지붕 위에 있는 황금색 치미(鴟尾)로 황금색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치미는 전각이나 문루 등 전통 건물의 용마루 양쪽
끝머리에 얹는 기와로 궁전·불전 등의 용마루 끝에 붙인 물고기 꼬리 모양의 장식물인데 억화(抑火)와 금화(禁火)의 뜻으로 장식되
어진 것이라고 한다...지붕의 것과 같은 크기이다.
동대사가 건축되어진 배경에는 그 이전부터 계속되던 재해와 전염병으로 고통을 부처의 힘으로 국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전국 곳
곳에 고쿠분지(国分寺...각 나라를 대표하는 절마다 절) 건설을 장려하는 칙령을 내렸으며 그 때 건축되어진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가 몽고의 침략을 부처님의 힘으로 물리치기 위해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던 것과 같은 의미이다.
청동비로나자불 키 : 14.98m 얼굴 : 5.33m 눈 : 1.02m 코 : 0.5m 귀 : 2.54m 라고 한다.
대불의 무게는 500ton으로 당시 일본 정부가 이 불상을 만들기 위해 일본 전역에 있던 청동을 모두 끌어모아 써버렸기 때문에, 일
본 경제는 파탄 직전까지 갔었다고 한다.
최근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대불상의 무릎 부분에서 사람 이빨, 진주, 거울, 칼, 보석들이 감지되었다고 한다. 학계에서는 이를 쇼
무 천황의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고....
비로나자불의 수인(手印)은 시무외인(施無畏印)으로 시무외인은 오른손을 위로 올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두려워하지 말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비로나자불을 협시하는 우측보살인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 지혜와 복덕을 중생들에게 한량없이 베풀기 때문에 허공장이라 한
다. 보통 오른손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보검(寶劍)을, 왼손에는 복덕을 상징하는 연꽃을 들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수
인을 하고 있다.
비로나자불을 좌측으로 돌면서 사진을 찍어 본다.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은 크고 넓은 눈으로 수미산의 서방 국토를 바르게 지키고 중생을 도와주는 천왕이라는 뜻이다.
뒤쪽으로 돌아 본다.
비로나자불의 광배..지름이 27m라고 한다.
이 구멍을 통과하면 불운을 막아 준다고 하는데 여자와 어린아이들 밖에 통과를 하지 못한다고
예전에는 사람드이 체구가 적어서 남자들도 통과하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체구들이 커져서 불가능 하다고..
다문천왕(多聞天王) 또는 비사문천(毘沙門天)은 불교의 사천왕 중 수미산의 북방을 수호하는 천왕이다. 부처의 설법을 빠짐없이
집중해서 듣는다’고 해서 다문천왕이라고 한다
참고로 사천왕(四天王)은 우주의 사방을 지키는 불교의 수호신으로 동방 지국천(持國天), 서방 광목천(廣目天), 남방 증장천(增長
天), 북방 다문천(多聞天) 이 있다
비로나자불의 좌측 협시불(脇侍佛)인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 손에 여의주(如意珠)와 법륜(法輪)을 들고 중생의 소원을 이루어
준다는 관음이다. 머리를 비스듬히 하여 사유하는 모습이다. 보통 팔 여섯 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도 시무외인을 하고 있
다.
비로나자불의 협시불은 대채로 우측에 노사나불 (盧舍那佛) , 죄측에 석가모니불이거나 , 우측에 보현보살( 普賢菩薩) , 좌측에 문
수보살( 文殊菩薩) 을 협시불로 하고 있는데 이곳은 우측에 허공장보살과 좌측에 여의륜관음보살을 협시불로 하였다.
안에서 한바퀴 돌아서 밖으로 나온다.
앞에서 다시 한 번 카메라 샷다를 ...시무외인을 하고 있는데 대부분 비로자부처님의 수인은 오른손으로 세운 왼손 검지를 감싸쥔
지권인 (智拳印:오른손은 부처님 세계, 왼손은 인간 세계를 뜻하며 부처님 가르침으로 중생을 구하겠다는 의지와 한편으로는 부처
와 인간이 하나라는 뜻도 있다)을 취하고 있다.
대불 전 오른쪽 밖에 있는 빈두로 존자 목상...에도시에 만든 목상으로 자신이 아픈 부위를 목상의 부위에 만지면 아픈 곳이 낫는다
고 한다...500아라한의 한사람이다.
동대사 대불전을 나와서 ...
3월당 쪽으로 간다.
https://youtu.be/LgVm9NmtC_0?si=4MOei3Wv-9kdJ98u....동대사 유튜브
*****************
알아 두면 좋은 불교상식..절에 가면 까막눈을 면할 수 있고 같이 간 사람에게 아는 체 할 수 있다.
부처는 "진리를 깨달은 사람","진리에 도달한 사람"의 뜻이고,"여래"라고도 하는데
석가여래 (불)
비로자나여래 (불)
미륵여래 (불)
약사여래(불)
아미타여래(불)이 있다.
(1)석가모니불(항상 파마머리)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 부처님을 형상화 한 것이다
석가모니불의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아래로 향하는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사찰전각의 안은 주불(主佛)이 좌우 부처나 보살을 거느리는 삼존불(三尊佛)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약사불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 사진A
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사진B
부처를 좌우에 모시는 것을 협시불(사진A)이라 하고 보살을 좌우에 모시는 것을 협시보살(사진B)이라 한다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시는 곳을 대웅전(大雄殿) 또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 한다
대웅이라는 말 뜻은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부처님을 위대한 영웅 즉 대웅이라 일컫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사진 B처럼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수행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을 협시보살로 모시는 곳을 대웅전이라하고 사진A처럼 부처
를 협시불로 모시는 곳을 대웅보전이라고 한다.
(2)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은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태양의 빛처럼 우주에 가득 비치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대일여래(大日如來)라고도 한다.
비로자부처님의 수인은 오른손으로 세운 왼손 검지를 감싸쥔 지권인을 취하고 있다
노사나불 <비로자나불> 석가모니불-사진C
보현보살 <비로자나불> 문수보살-사진D
비로자나불이 주불전인 경우 "대적광전(大寂光殿)(사진C)"이라 하고 주불전이 아닌 경우에는 비로전(毘盧殿)(사진D)이라고 한다.
대적광전은 이곳의 주불인 비로자나부처님이 두루 비추는 빛 즉 광명이나 적광의 성질을 갖고 있어 이렇게 이름지어진 것이다.
대적광전(大寂光殿)에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을 중심으로 좌우에 노사나불(盧舍那佛)과 석가모니불을 봉안하게 된다. 이는 비
로자나불을 법신(法身)으로 삼고 노사나불을 보신(報身), 석가모니불을 화신(化身)으로 삼는 삼신설(三身說)에 근거한 삼존불이
다.
(3)아미타불
아미타불은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서방 극락정토로 왕생하게하는 부처님이다.
누구나 일념으로 "아미타불"이란 명호만 부르면 극락왕생 시켜준다고 한다.
아미타부처님의 수인은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데 이를 다른 말로 미타정인(彌陀定印)이라하며, 중생의 근기에 따라 아홉가지 다른
수인(구품인)을 취한다
대세지보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사진E
아미타여래가 봉안된 불전이 주불전인 경우 "극락전(極樂殿)" 또는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 한다(사진E)
주불전이 아닌 경우에는 미타전 또는 아미타전이라 한다
(4)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는 모든 질병과 무지의 병까지 고쳐 주는 부처로 동방유리광 세계의 교주이다
약사여래는 대개 왼손에 약병이나 약합,약단지(무가주)를 들고 있고 오른손으로는 삼계인을 짓고 있다
월광보살 <약사여래불> 일광보살-사진F
약사여래불이 안치된 불전을 약사전(藥師殿)(사진F)이라하고 좌우 협시보살로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모신다
(5) 미륵불
미륵불은 도솔천이라는 하는 나라에서 보살로 있으면서 56억7천만년 뒤에 이 세상에 나타나 못다 구제된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래
불이다
수인은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취하고 있다
미륵불이 용화수 아래에서 성도하여 용화세계를 이룩할 것이라는 의미에서 미륵불이 모셔진 불전을 미륵전 또는 용화전(龍華殿)
이라 한다
협시보살로는 법화림보살과 대묘상보살 혹은 묘향보살과 법륜보살을 모신다.(인터넷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