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에 이 영화로 인터넷이 뜨거웠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나도 한 마디 거들었던 적이 있어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올려 봅니다.
***********
아래 글은 이 창동 감독이 기독교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용서라는 개념에 대해서 말하고 싶어했던
'밀양'이라는 영화를 보고서 한 카페에 올렸던 글입니다..
자신은 종교를 가지지 않고 살더라도 우리 주변에는 종교인들이 많으며 원하든가 원하지 않든가 간
에 그들과 관계를 가지고 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그들에게 좋은 영향도 받겠지만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교리를 그대로 신봉하는
그들의 생활자세 때문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종교인들을 대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글을 올립니다.
벌레 이야기...참으로 황당한 용서
인터넷을 뒤져서 이창준의 ‘벌레 이야기’를 읽어 보았다.
작가는 80년대 초 마포의 한 고등학교 체육선생이 제자를 유괴하고 살해하여 사형선고를 받고 기독
교에 귀의하여 마음이 평안해 하는 것을 신문지상에서 보고 충격을 받아 이 사건을 동기로 하여 이
소설을 썼다고 한다.
작가는 이 글에서 자식을 읽고 비통으로 좌절해 있는 어머니를 위로하여 일어서게 하고 더 나아가서
는 범인까지를 용서하게 하도록 하게하지만, 용서의 문제 때문에 결국에는 그 어머니를 자살에 이르
게 하는 역할을 하는 교회의 모습을 김집사라는 이웃집 아주머니를 통하여 그리고 있다.
글을 읽고 나면 죄를 지은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뻔뻔스럽게(다른 사람들 눈에는 그렇게 보일 수도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을 대할 수 있게 만드는 기독교에 대해서 불편한 마음이 들게 만든다.
기독교인들이 벌레이야기라는 글을 읽으면 어떨지 모르지만 비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기독교에 귀의
한 죄인이 그렇게 변하는 것에 대해서 황당한 느낌과 거부감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마 작가도 제자를 유괴하여 살해하고 사형을 기다리는 사형수를 그렇게 변화시킨 종교의 긍정적
인 힘보다는 인간의 감정을 거스르는 종교의 부당함을 주인공의 자살이라는 것으로 표현하였을 것
이다.
그런데 왜 그 글의 이름을 벌레이야기로 하였을까?
작가가 그 글의 제목을 이렇게 한 것은 인간을 벌레처럼 하챦은 존재로 여기도록 하는 종교가 맘에
들지 않아서였을 것이다.
인간을 벌레로 표현한 것은 구약성서 시편 22편 6절에 이런 구절이 있다.
“ 나는 벌레요 사람이 아니라 사람의 훼방거리요 백성의 조롱거리니이다.
나를 보는 자는 다 비웃으며 입술을 비쭉이고 머리를 흔들며 말하되 ”
이 시는 3,200여 년 전 사람인 다윗이 범죄(사실 다윗은 많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다)한 자기 자신
을 벌레로 비유하여 하나님에게 용서를 구하면서 고백한 내용이다.
김대중 전대통령의 아들 김홍걸이 재판을 받을 때 재판부의 선처를 부탁하면서 이 시편의 성서를 인
용하여서 세간의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기도 하다.
이 소설 제목을 이렇게 이름 지으면서까지 말하고 싶었던 내용은 용서의 주체가 당사자인 인간이 아
닌 하나님으로 만드는 용납할 수 없는 종교의 부당함이었을 것이다.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용서는 용서를 하는 사람과 용서를 받는 사람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며 제3자는 개입할 여지가 없다.
당사자가 아닌 제3자가 당사자인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이 없이 용서를 해 준다면 그것이 용서가 되
는가?
용서는 당사자가 하는 것이지 제3자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하나님이라고 하더라도 당사자를 대신하여 용서를 해 줄 수는 없는 것 아닌가?
일상생활에서 예를 하나 들어 본다면
형이 동생에게 큰 잘못을 한 일이 있어서 자신에게 잘못한 형을 동생이 용서를 하지 못하고 있는데
아버지가 동생을 대신하여 용서를 해 줄 수는 없다.
그런데 아버지가 용서를 해 주었다고 형이 동생에게 그렇게 말한다면 동생은 당장 아버지에게 따질
것이다.
아버지가 무슨 권한으로 내가 해 줄 용서를 해 주었는가 하고.....
만약 그 형이 이렇게 말한다면 동생은 더 기가 막힐 것이다.
“나는 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 마음이 많이 괴로웠지만 아버지의 용서를 받고 그 잘못을 뉘우치고
나서 맘이 많이 편해 졌다. 그러니까 지금 너도 그로 인해서 마음의 고통을 당하지 않도록 하거라”
아버지는 아들인 동생의 허락 없이는 용서를 해 줄 수도 없고 해 주어서도 안 되며 아버지가 할 수
있는 것은 그 형을 대신하여 동생에게 용서를 비는 것과, 동생에게 형을 용서해 줄 것을 아버지의 마
음을 가지고 부탁하는 것뿐이다.
마찬가지로 아무리 하나님이라고 하더라도 그 어머니의 허락 없이는 그 유괴범을 용서할 수도 없고
하나님이 할 수 있는 것은 그 유괴범이 참회를 하게 만드는 것과, 그 어머니를 찾아와서 위로하고
그 유괴범을 용서해 주라고 부탁하는 것 이외는 할 것이 없다.
하나님의 법도라고 해서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초월해서 있지도 않을 것이고 만약 그렇게 되어 있
다면 그 법은 지켜지지도 않을 것이며 인간들로부터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죄를 지은 자는 오로지 당사자에게만 용서를 받을 수 있을 뿐이며 당사자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하더
라도 항상 그 일은 마음에 새기면서 그에게 미안함 마음을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
죄를 지은 자가 아무리 회개를 했다고 하여도 어떻게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 가 편안해 질 수 있는 것은 자신이 지은 죄에 상당하는 탕감을 치르고 난 뒤일 것이며 무엇으로도
탕감이 되지 않는 죄를 지었다면 그는 편안해 질 수 없는 것이며 편안해 져서도 안 된다.
피해자의 회복이 불가능한 죄 - 살인죄나 상해죄 강간죄 등- 를 지었다면 그는 아무리 법에 정한 형
을 살고 나왔다고 하더라도 그는 떳떳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그리고 평생을 참회하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한다. 그런 사람이 마음이 편할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자기가 죄를 지은 당사자에게 마음이 편안한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경우라 하더라
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만약 정말로 그렇다면 그는 잘못된 그 무엇 그것이 교리이든지 사상이든지에 의해서 양심이 마비당
한 것이다.
누구에게든 지었던 간에 자신이 지은 죄를 생각만 하면 얼굴이 붉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 정상적인
사람의 양심이다.
부모의 마음을 아프게 했던 자가 부모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해서 마음에 평안함을 얻는다면 그는 철
딱서니가 없거나 양심이 마비된 자가 아니겠는가?
양심이 있는 자라면 아무리 부모가 용서를 했다고 하더라도 그 일만 생각하면 그는 어둠속에 있더라
도 얼굴이 붉어지고 이불킥을 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 않다면 그는 이미 정상적인 양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용서는 오로지 당사자만이 할 수 있는 것이며 설령 하나님이라고 하더라도 제3자는 용서의 권한이
없을 것이다.
아무리 용서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자기의 양심의 가책으로부터는 자유로울 수가 없다.
결국 자신의 양심은 자신의 죄에 대해서 용서를 할 수가 없다는 뜻이다.
세상 사람이 다 용서를 하고 하나님이 용서를 한다고 하여도 자신의 양심은 그 죄를 용서할 수가 없
기 때문이다.
그래서 죄를 짓지 말라는 것 아닌가?
그런데도 불구하고 용서를 받았다는 핑계로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일이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남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도 그 상처를 볼 줄 모르며 자신의 입장만을 생각한다면,
그리고 눈물로 용서를 빌 줄 모른다면,.
용서를 하는 자와 용서를 받는 자와의 만남에 눈물이 없다면,
더구나 용서를 받는 자가 용서를 하는 입장에 서 있다면,
용서를 하러 간 당사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그런 모습을 이해를 하겠는가...
그런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서 보는 독실한 종교인(기독교)인들의 모습일 것이다.
벌레 이야기 라는 단편은 아주 짧습니다.
다운 받아서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 보면 소설과 영화는 말하고자 했던 의도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일암이 엄마를 위로하고 설득하는 김집사가 싫어질 것입니다.
'세상을 잘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씨도 덥고 해서...귀신 이야기 (0) | 2020.08.19 |
---|---|
밀양이라는 영화와 이창준 소설가의 벌레이야기 (2) (0) | 2020.08.17 |
헐~~추모관(납골당)이 물에 잠겼네.... (0) | 2020.08.12 |
홍수만 지면 물에 빠져 죽었다는 할머니 이야기가 생각이 난다. (0) | 2020.08.11 |
등 떠밀어 줘서 고마워요... 밥을 살게여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