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기 좋은 꽃노래는 몇 번까지가 한계일까?
‘듣기 좋은 꽃노래도 한 두 번이지’라는 우리 속담이 있는데 꽃노래는 한 번 두 번이 한계일까?
아니면 몇 번을 더 들으면 질리게 될까?
아무리 맛이 있는 음식이라도 계속 먹으면 질리게 되어 있어서 나중에는 그 음식을 보기도 싫어진다.
뷔페가 귀하던 시절이었던 80년도 말에 출장을 가서 호텔에서 3일동안 점심을 먹게 되었는데 호텔에는 뷔페밖에 없어서 뷔페로 점심을 먹게 되었다.
첫날에는 맛있게 먹었으나 다음 날에는 별로 였었고 그 다음날에는 접시에 가지고 오고 싶은 음식이 없었다.
호텔 뷔페 식단이 아무리 화려하지만 이틀을 먹고 나니 쳐다보기도 싫어졌었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고 같이 갔던 사람들 모두 그랬었으니 인간들의 보편적인 성향이 그렇다고 보면 될 것이다.
음식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변화가 없이 늘 똑 같은 것을 하거나 똑 같은 매일이 반복된다면 아마도 미칠 일이 아니겠는가?
인간들의 일상은 어제와 같은 일이 반복된다고 하더라도 어제의 나 자신과 오늘의 나 자신이 다르고 주위의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엄격하게 말하면 똑 같지는 않다.
매일 똑 같은 앞산을 보더라도 아침에 보는 산의 느낌이 다르고 낮에 보는 산의 느낌이 다르며 저녁에 보는 산의 느낌이 다르고 밤에 보는 산의 느낌이 다르다.
하루의 느낌 뿐 아니라 계절에 따라서 느낌도 달라질 것이다.
내 마음과 내 눈은 변함이 없다고 하더라도 주변이 달라지기 때문에 똑 같은 일상이라도 지겹지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살아 있을 때보다 죽고 난 뒤에 발생하게 되는데 천국을 가든지 지옥을 가든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지옥에 가는 사람은 논외로 하고 먼저 천국을 가는 사람의 문제점을 생각해 본다면 영원한 세월을 즐기면서 살아야 한다.
즐거운 놀이를 한다든가, 맛있는 음식을 먹는다든가,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을 한다고 하더라도 그런 행위가 영원히 계속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산해진미 음식이 끼니때마다 바뀌어 나온다고 하더라도 한두 끼도 아니고 일이 년도 아니며 영원히 먹어야 한다면 그것도 고역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즐거운 놀이인 연회나 게임이나 그런 것도 영원히 계속 한다면 그것도 지겨운 일이다.
사랑의 행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영원히.....
얼마나 끔찍한 일인가......
사람들은 천국을 가는 것에만 관심을 가질 뿐 거기서 영원히 산다는 것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서운 일이라는 것은 생각해 보지 않았다.
영원히 살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서운 일인가?
영화 같은 데서 불멸의 삶은 사는 사람들에 대한 것들을 소재로 하여 영화를 만들기도 하지만, 불멸의 삶을 살 수 있는 사람들이 행복할리도 없고 결국 그들이 소망하는 것은 죽는 것이다.
그러면 천국에 가 있는 사람들의 소망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아무리 행복하고 즐거운 천국이라고 하더라도 영원히 그렇게 살아야 한다면 차라리 죽고 싶은 생각을 가질 만도 하지 않겠는가?
동양의 종교인 불교나 힌두교는 영혼이 윤회(輪回)를 하거나 수행을 통해서 업장(業障)을 소멸해서 해탈(解脫)의 경지에 이르게 되면 나중에는 공(空)이나 무(無)의 상태로 되어 진다고 생각한다.
영혼이 어디 한 곳에서 영원히 머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극락이 아무리 좋더라도 영혼이 극락에서 영원히 머무는 것이 이치에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윤회나 소멸을 생각하게 되었을 것이다.
옛날 사람이라고 해서 이런 생각을 해보지 않았을 리가 없지 않겠는가?
서양의 종교인 유대교나 기독교 회교 등이 동양의 종교보다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영혼이 천국에서 영원히 즐기며 산다는 하는 것을 보아서도 알 수가 있다.
사실 우리가 죽고 난 뒤에 어떻게 되는 지는 잘 알 수가 없다.
동양의 종교에서 말하는 윤회를 하는지 아니면 천국이나 지옥으로 가서 영원히 사는 지 죽어보지 않고서는 알 수가 없다.
동양에서 주장하는 것이나 서양에서 주장하는 것이나 각 각 나름대로 근거를 가지고 주장을 하겠지만 어느 것이나 우리가 이성적으로 이해하고 받아 들이기는 어려운 내용들이다.
유교나 도교에서도 이런 문제를 언급하였었고 혼(魂)이나 백(魄)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면서 혼은 우주의 근본과 합일하고 백은 육신이 썩어 없어질 동안 있다가 육신이 썩어 없어지면 같이 흩어져 없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어쨌든 영혼은 영원히 존재한다고 보지 않았다다는 것이다.
영혼이 영원히 존재한다고 하는 것이 한시적(限時的)으로 존재한다는 것보다 더 비합리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것 들은 자신이 스스로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들이다.
누군가 그렇다고 한다고 하여 그렇게 덜렁 믿는 것은 이 종목이 대박이 날 주식이라는 말만 믿고 덜렁 전 재산을 투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지 않겠는가....
영계 곧 천국에 가서 무엇을 하면 흥미진진하고 재미가 있을까?
영계에서 행복하기 위해서는 배불리 먹는 것보다는 재미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끝없는 호기심이 충족되어야 하는....
영원이라는 사실 얼마나 무서운 시간이라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영혼이 영원히 산다는 것만큼 무서운 것이 없는 것이다.
'세상을 잘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생노병사와 인류의 존속과 멸망은 누가 결정하는가? (0) | 2018.05.06 |
---|---|
실패한 인생이 되기 싫다면...미래의 변화를 읽는 힘을 길러야 (0) | 2018.04.26 |
인생에 있어서 가장 행복한 시기는 언제일까? (0) | 2018.02.19 |
‘가위 가위 보’라는 말은 없다 (0) | 2018.02.14 |
교파의 분열과 새로운 종교의 탄생에 대한 시스템적인의 이해......대박치는 까오다이교 (0) | 2018.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