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지도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여행을 하는 사람들 중에 자신이 가는 곳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가는 사람들이 많다.
뚜렷한 목표나 목적 없이 여행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사실 아프리카 여행은 패키지나 세미배낭여행이나 자유배낭여행 모두가 어렵다.
일단 멀고 환경도 열악하고 차도 많이 타야 되는 그런 일정이기 때문이다. 이런 여행을 하면서 단순히 아프리카이기 때문에 오는 사람들을 보게 되는데 좀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마운(Maun)은 보츠와나의 다섯 번째 큰 도시로 ‘키 작은 갈대가 있는 곳’이라고 한다.
지명에서도 이곳이 습지라는 느낌이 나는 곳으로 오까방고의 델타를 보기 위해서 찾는 관광도시인 셈이다.
마운과 오까방고 델타..내륙에 있는 델타로서는 세계 최대라고 하며 한반도 만한 크기이다.
오늘 우리가 가는 곳은 오까방고 델타(Okavango Delta) 지역이다. 델타(Δ)는 그리스 알파벳의 네 번째 글자로 모양이 삼각형을 닮아서 삼각형이나 삼각형을 닮은 강하구를 델타라고 부르는데 보통의 삼각주는 강이 바다에서 만나는 곳에서 만들어지지만 이곳의 델타는 내륙에 만들어진 삼각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내륙 삼각주로고 하며 그 크기가 20만 2천㎢로 거의 한반도 크기만한 삼각주이다.
이곳에 델타가 형성되게 된 것은 앙골라고원에서 발원한 오까방고 강이 원래는 칼라하리 사막을 관통하여 남아프리가 중북부를 거쳐서 인도양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었으나 200만년 전에 아프리카의 거대한 지각변동으로 인해서 역단층(逆斷層)이 발생하는 바람에 강물이 인도양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고 여러 갈래로 흘러 호수를 형성하였으나 호수가 증발하여 현재의 내륙습지가 되었다고 한다.
비행기에서 본 델타...두디피아에서
코끼리가 늪지를 지나가고 있다...두디피아
오까방고의 일몰...두디피아
오까방고의 일몰...두디피아
오까방고의 델타에 오는 것을 작은 수로에 보트를 타러 오는 것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두어시간 정도의 보트를 타러 하루 종일 차를 타고 이곳으로 오고 또 하루 종일 차를 타고 가야 한다면 두 시간의 보트를 타기 위해서는 시간이 너무 아까운 일이다.
이곳은 계절에 따라 또는 물의 양에 따라 습지와 초원이 달라지게 되는데 우리가 갔을 때는 1월 하순으로 우기가 끝난 뒤였었는데 비가 많이 오지 않아서 물이 많지 않았다.
물이 너무 많을 때 오거나 물이 너무 없을 때 오게 되면 습지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고 하는데 우리는 물은 있었지만 그리 많지 않을 때였고 현지인들이 비가 오지 않아서 물이 마를까봐 걱정을 하고 있었다.
물이 마르면 관광객들이 오지 않기 때문이다.
숙소에서 1시간 정도 투어차량을 타고 가면 원주민이 사는 마을이 나오는데 관광객들을 태우기 위한 선착장이 있는데 우리 말고도 관광객들이 많이 있다.
숙소에서 이곳까지 오는 도중에 웅덩이가 있었던 흔적들이 있었으나 말라버려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물이 있었던 웅덩이라고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말라 있다.
차가 다니는 이 길도 비가 오면 물이 차 있는 곳이라고 한다....지금은 먼지만 날리는 길이다.
관광객들과 더불어 관광객들을 태우기 위한 사공들이 삿대 하나씩을 들고 있는데 아가씨와 아주머니 아저씨와 청년들로 다양하다.
그들과 먼저 기념사진을 찍고 두 명씩 한조가 되어 보트에 타고 수로를 미끌어져 들어가는데 저 앞에 코끼리 한 마리가 발로 수초를 차서 코로 뜯어 먹고 있다.
한 마리만 보여서 우리끼리 저 코끼리는 일당 받고 출연하고 있는 코끼리라고 농담을 하였는데 이 델타지역에는 400여 종류의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마을을 지나서
선착장에 도착하고...
장대를 들고 있는 사람들이 보트를 저어갈 사공들이다.
보트를 타러 가는 일행들과 다른 광광객들
잠깐 쉬는 틈에 사진도 찍고
사공들도 준비를 한다....엉덩이가 물에 젖지 않게 의자를 준다.
주변의 풍경들
나무 그늘에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은 관광객이 부족해서 배당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다.
사공들이 나와서 소개를 하고...
일행들과 기념촬영을 하고나서
두명씩 보트를 탄다.
줄을 지어서 타고가는데 멀리 코끼리 한마리가 보인다.
발로 땅바닥을 차서 뿌리를 케서 물로 씻어 먹는다....오전에 한마리만 있다가 오후에 나올 때는 숲으로 들어가 버렸다.
수로에는 수련들이 많이 피어 있다....서로 사진도 찍어주고..
칼라하리 사막에서 이곳이 유일하게 형성된 습지이기 때문에 동물들과 식물들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래서 이곳이 1996년 국제습지조약(람사르협약)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14년 6월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고 한다.
우리가 보트를 타는 곳은 모코로 선착장으로 델타의 끝부분이며 비행기를 타고 공중에서 관광을 하더라도 일부분만을 보게 되는데 보트를 타고 체 한 시간이 되지 않는 보트를 타고 물이 빠져서 초원이 된 곳을 잠깐 보는 것은 델타지역의 지극히 일부분을 보게 되는 것이다.
보트를 타고 수로를 들어가면 수로에서는 맑은 물이 흐르는데 이 물은 앙골라의 고원에서 출발하여 칼라하리 사막을 거쳐서 1,600㎞를 흘러온 물이라고 한다.
사공에게 이곳에 물고기가 사는지를 물어보았더니 큰 물고기들도 있다고 한다.
40여분 정도를 수로를 따라서 들어가서는 불에 탄 육지로 올라가는데 물이 빠져서 육지가 된 곳으로 물이 많을 때는 물속에 잠기는 곳이다.
불에 탄 것은 건조할 때 번개 등으로 불이 나서 불에 탄 것이라고 하는데 초베에서 코끼리 관광을 할 때 나미비아 쪽에서 계속 연기가 나는 것을 보았는데 그곳도 이렇게 불이 난 것을 보았던 셈이다.
사람들이 저 코끼리를 보고 돈 받고 아르바이트 하는 코끼리라고 한다.
보트를 타고 수로를 가는 것에 대해서 재미가 없었다고 하는 사람들과 재미가 있었다고 하는 사람들로 나누어진다고 한다.
열 척이 넘는 보트가 일렬로 삿대로 저어 가는 모습도 볼만하다.
수련들이 어디에나 피어 있어서 수중 꽃밭인 셈이다.
보이는 언덕에서 내린다.
내려서 올라가면
불에 탄 초원이 보이고....
불에 타지 않은 곳에는 짐승들이 있다.
가젤 떼들
이곳에 왔다는 기쁨을 표시하는 점프
우리를 바라보고 있는 얼룩말인데 무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망을 보는 숫놈이라고 한다....사자 같은 맹수들에게 제일 먼저 잡아 먹히게 된다고..
이곳도 사자를 비롯해서 얼룩말이나 가젤 등 여러 동물들이 살기 때문에 개별행동이나 동물들을 자극할 수 있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
동물구경들을 하고 나와서 다시 보트를 타고 다른 쪽 언덕으로 가서 준비해온 도시락을 먹는데 배를 저어온 사람들은 식사를 하지 않고 한쪽에 기다리고 있다.
아마도 그들은 점심을 먹지 않는 듯해서 마음이 불편하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다. 우리도 이곳에서 태어났더라면 저렇게 살아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 아닌가...
일부를 배를 저어온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는데 그것을 그들끼리 나누어 먹는다.
그리고 여자들은 우리들에게 수공예 기념품을 팔기 위해서 진열해 놓는데 사주고 싶지만 별로 살만한 것이 없어서 미안하다.
식사를 하고 나서는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초원이 된 곳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을 보여주기 위해서 답사를 가는데 아프리카의 빅파이브인 사자, 코끼리, 코뿔소, 표범, 버팔로에 버금가는 스몰 빅파이브를 소개해 준다고 하는데 개미는 기억이 나지만 다른 것들은 생각이 나지 않는다.
한르에는 새 떼 들이 날아다니는데 이곳에는 새와 동물 물고기들이 400여종이 넘는다고 한다.
초원에서 내려서 점심을 먹기 위해서 건너편으로 가고...
내리기 전에 잠깐 사진을 찍는다.
배를 수로에서 끌어 올리는데 왜 그러는지...
줄을 지어서 안전한 곳으로 가서
준비해 준 도시락을 먹는다.. 도시락 값은 투어비에 포함된 것이다.
점심을 먹는 옆에는 여자들이 가지고 온 악세사리 등 수공예품들을 늘어 놓고...
수공예품을 구경하기도 하고 도시락의 일부를 나누어주기도 한다.
식사를 하고 나서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이곳에 사는 동물들과 식물들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개미집을 설명하면서 작은 빅파이브라고 한다.
투어를 끝내고 선착장으로 나오고...
한 시간 정도의 설명과 답습이 끝나고 다시 보트를 타고 선착장으로 나와서 내리게 되는데 보트에서 내리면서 각자 알아서 1달러나 2달러 또는 보츠와나 지폐를 주고 내린다.
우리를s태우고 온 지프차를 기다리는 동안 마을을 둘러보면서 아이가 있는 한 집에 들러서 사탕을 주고 집 구경을 했는데 마사이 마을 같지는 않지만 열악하기는 이곳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을 보면 불쌍한 마음과 더불어 미안한 마음이 함께 하게 되는데 같은 시대에 살면서 그들과 나의 처지가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2014년 1,000번째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팻말...사람들은 이곳에 이런 것이 있는 줄도 모르고...
존의 가게...
잠깐 시간이 있어서 마을을 둘러 보는데 더워서인지 사람들이 보이지 않고...
이곳에 사람들이 모여 있는데 축제나 일이 있는 것은 아니고 음료수와 맥주를 사 먹는 사람들이라고 한다.
우리가 오전에 보트를 탈 때 나와 있던 아이가 살고 있는 집이 보여서 찾아 가서 사탕을 주고
마당을 구경하였다....불을 피우는 곳이 부엌인 셈이다.
인사를 하는 어머니와 아이들
우리가 나온 뒤에는 관광객들이 없어서 사라믇도 떠나고 배난 남아 있다.
이곳에서 자라는 풀을 베어서 무엇인가를 만드는 가.보다.
지프차가 와서도 금방 출발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 마을에서 보트로 관광객을 태워주는 사람들과 우리를 태우고 온 관광회사 사이에 무엇인가 이야기가 길어지고 있고 사공들도 삯을 받지 못해서인지 기다리고 있다.
숙소로 돌아온 시간이 네 시쯤으로 조금 쉬다가 숙소 안에 수영장이 있어서 수영도 한 번 해보고 롯지 안에 있는 식당에서 우리나라 돈으로 만 원 정도 하는 T본 스테이크와 맥주를 사먹는 호사도 누려보는데 여행 중에 저녁을 사서 먹어보기는 처음이다.
내일은 마운을 떠나서 나미비아의 수도인 빈트후크로 가야 하는데 자그마치 800㎞가 넘는 거리이다.
오까방고의 습지의 의미를 모른다면 1,500㎞의 거리를 차를 타고 이틀 동안 오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아침의 숙소의 마당에 있는 나무와 새들..빨래들도 보이고
사공들의 소개와 간단한 주의사항을 전달하는 대장
돈 받고 알바한다고 오해받는 코기리
수로를 줄지어 가는 보트들
불에 탄 초원
유투브의 오까방고 델타
아래는 오카방고 델타에 대한 두산백과의 설명내용이다.
오카방고 델타[Okavango Delta]
보츠와나의 응가밀란드(Ngamiland) 구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내륙 삼각주로 2014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남아프리카 남부 중앙 내륙에 위치한 보츠와나의 응가밀란드에 있는 삼각주의 습지대를 가리킨다.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내륙 삼각주를 이루어 생태계의 보고(寶庫)라 불리는 곳으로, 1996년 국제습지조약(람사르협약)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14년 6월 유네스코(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자연유산의 지정 면적은 202만 3590㏊, 주변의 완충지역(Buffer zone) 면적은 228만 6630㏊이다. 지정 면적에는 충적침전물로 형성된 약 60만㏊의 영구 습지와 계절 따라 물에 잠기는 70만~120만㏊의 초원 지대가 포함된다. 이 지역은 아프리카지구대의 일부이며, 원래 지질시대에 칼라하리사막에 존재하였다가 홀로세에 말라버린 것으로 알려진 막가딕가디호(Lake Makgadikgadi)의 일부였다. 오카방고 델타는 앙골라고원에서 발원하여 나미비아를 거쳐 보츠와나로 흘러드는 오카방고강 하류에 형성되었다. 오카방고강은 원래 칼라하리사막을 관통하여 남아프리카 중북부를 거쳐 인도양으로 흘러드는 강이었으나, 200만 년 전에 아프리카 중북부를 뒤흔든 거대한 지각변동으로 역단층(逆斷層)이 생긴 탓에 강물이 막혀 더이상 바다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되었다.
이후 북쪽의 단층이 강의 흐름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부채꼴 모양의 땅이 형성되었고, 남쪽의 단층은 삼각주의 가장자리를 단단히 지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해서 처음에는 거대한 호수를 이루었다가 호수가 증발하여 현재의 내륙 습지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1600㎞를 흘러 이곳에 도달한 강물은 수많은 수로를 통하여 일부는 사막으로 스며들어 얕은 늪이나 웅덩이들을 만들고 대부분은 증발하여 사라진다. 습지대 남쪽은 사막과 듬성듬성 삼림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북쪽에는 모래 평원과 건조 초원이 형성되어 있으며, 북동부에 모레미 야생보호구역(Moremi Game Reserve)이 있다.
이 지역의 특징은 건기에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카방고강의 상류인 앙골라고원에서 흐르기 시작한 물이 삼각주까지 도달하는 데는 대략 5개월이 걸리는데, 우기인 1월에 상류에 내린 비가 건기가 최고조에 이르는 6~7월에 삼각주에 도달하여 서서히 전역으로 퍼져나간다. 이러한 자연 조건은 건조한 칼라하리사막에서 광대한 오아시스 역할을 하여 아름다운 풍광을 빚어낼 뿐 아니라 수많은 동식물의 서식처가 되었다. 이 지역에는 치타·흰코뿔소·검은코뿔소·들개·사자 등 멸종 위기에 처한 몸집이 큰 동물을 비롯하여 포유류 130종, 남부아프르카코뿔새·볼망태두루미를 비롯한 조류 482종, 타이거피시·틸라피아를 비롯한 어류 89종, 파충류 64종, 그리고 식물 1061종 등이 서식하여 생태학적·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의 하나로 꼽힌다.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이야기 (28) 나미비아(3)...세계에서 제일 아름다운 사막인 나미브 사막의 석양 (0) | 2018.05.10 |
---|---|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이야기 (27) 나미비아(2)...빈트후크에서 소수스 블레이 가는 길 (0) | 2018.05.07 |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이야기 (24) 보츠와나(2)...오까방고의 마운 가는 길 (0) | 2018.05.01 |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이야기 (23) 보츠와나(1)...초베국립공원의 코끼리 (0) | 2018.04.30 |
아프리카 7개국 종단 배낭여행 이야기 (22) 짐바브웨(2)...잠베지강 선셋크루즈 (0) | 201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