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적당한 사회학적(?) 나이
이어서...
그런데 문제는 대부분 아니 거의 모든 사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오래 사는 것을 소망한
다는 것이다.
그 오래 라는 기준이 몇 살인지는 규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제 80 정도는 오래 산다고 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주변에 보이는 노인들 중에 80을 넘은 사람은 얼마든지 흔하게 볼 수 있다.
우리는 장수하는 사람을 복이 많은 사람이라고 하며 부러워하고 또 더 오래 사시라고 축복의 말을
건넨다.
그런데 오래 사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또 그렇게 축복 받은 것인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
야 할 것이다.
우리가 어떤 집에 소중한 손님으로 초청을 받아가서 그 집에서 극진한 환대를 받았다 하더라도. 떠
날 때에 그 집에서 떠나지 아니하면 그 때부터는 그 집의 귀한 손님이 아니라 부담이 되어지고 결국
에는 천덕꾸러기가 되어질 것이다.
인간의 삶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 땅에 귀한 손님으로 왔으면 손님으로서의 품위를 잃지 않고 있을
때에 다음에 오는 손님을 위하여 아름답게 떠나야 할 것이다.
그 기간이 얼마로 할 것인가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렇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세상에 태어나서 부모의 사랑가운데 성장하여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서 사랑을 하여 자녀를 낳고,
부모가 나를 사랑하였듯이 그 자녀를 사랑으로 양육하여 그 자녀가 성장하여 자녀(손자)를 낳는 것
을 보고, 그 손자 손녀를 사랑하다가 그 손자 손녀가 결혼할 적령기가 되기 전이라고 보는 개인적인
견해이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이 기간을 년 수로 계산해 보면 70년에서 80년이 된다.
그 계산의 기준은 다음에 나오겠지만 그 보다도 이런 기간을 정하는 기준이 무엇인가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평범한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 잘 산 사람의 삶을 말한다면 이 세상에서 경제적으로 부자인 인
생을 사는 것보다는 사랑의 부자로 살다가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이라는 모든 만물을 대상으로 하여서도 느낄 수 있는 감정이지만, 인간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것
을 우리가 말하는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강력한 사랑은 가족 간에 느끼는 사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람은 모든 사랑의 기본이 되며, 그 사랑을 어느 한 가지라도 느끼지 못한다
면 그는 참으로 불행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난 이상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느끼는 사랑에 대해서는 반드시 느껴
보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이는 육신을 가지고 있는 동안에 반드시 느껴 보아야 하는 것이며 삶의
근본목적이기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족 간의 사랑에 대한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는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의 사랑을 느껴야 하는 것이다.
고아가 불쌍한 것은 못 먹고 못 입어서 불쌍한 것이 아니라 부모의 사랑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어릴 때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고 성장한 아이는 정서적 측면에서 정상적인 사람으로 성장하
는 것이 어렵다고 한다.
그들은 사랑이 가장 필요한 때 사랑을 모르고 자랐기 때문에 성장해서도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보통
사람보다 더 힘들다.
또 사랑의 결핍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사회의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는 것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녀의 입장에서 부부의 사랑을 느껴야 하는 것이다.
부부는 콩 속의 한 쪽과 같으며 가정은 콩과 같은 것이다.
남자와 여자는 각각 양(陽)과 음(陰)을 대표하며 곧 부부는 천지를 대표하는 입장이 되는 것이며 가
정은 곧 작은 우주가 되는 것이다.
남자는 양적인 세계를 대표하는 입장에서 음적인 세계를 대표하는 부인을 사랑하여야 하는 것이며,
그 사랑은 은근한 사랑부터 정열적인 사랑까지 이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사랑으로 상대방
을 사랑하여야 하는 것이다. 곧 남녀의 사랑이 발전하여 부부의 사랑이 되는 것이며 이 사랑은 이 세
상의 존재하는 모든 사랑의 기본이 되는 사랑이다.
이 세상에 태어나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보지 못하고 그 사랑하는 사람과 가정을 가져보지 못했다
면, 그 사랑의 인생이 경제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아무리 풍족하고 훌륭한 인생을 살았다고 하더라도
그는 인생의 참된 기쁨을 모르는 사람이다.
그래서 독신은 불쌍한 사람들이다.
그들이 득도를 하여 진리를 깨우쳐서 아무리 아름다운 살을 살아간다 하더라도 남녀가 애틋하게 사
랑하면서 사는 삶만큼 아름답지 못하다
그러므로 도인들이나 신부 수녀들은 그들이 아무리 희생의 길을 걷고 사랑의 길을 걸어갔더라도, 그
사람들은 신(神)이 부여한 남녀 간의 사랑을 모르기 때문에 불행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혼자 사는 것은 천지의 조화와 천지의 법도에도 어긋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부모가 되어 자녀에게 느끼는 사랑이라고 할 것이다.
서로 사랑하는 사람이 부부가 되어 자녀를 가지게 되었을 때 그 자녀를 잉태하는 기쁨은 말과 글로
표현이 불가능한 것이다.
태어날 때와 그 자녀가 자라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얼마나 큰 기쁨인가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가 없
다.
자식을 사랑하면서 느끼는 기쁨은 부부에게서 사랑 받는 기쁨이나 부부가 사랑하면서 느끼는 기쁨
과는 또 다른 기쁨이다.
결혼을 하고 나서도 자녀를 가지지 못한 부모는 또한 불쌍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이 기쁨을 맛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독신이나 성직자들은 남녀 간의 사랑과 자녀나 손자들의 성장을 통한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을 불행하다기보다 불쌍한 사람이다.
이 세 가지의 사랑 때문에 이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가 될 수가 있는 것이기도 하다.
다른 나머지의 형제간의 사랑이라든가 사제간의 사랑 등 다른 횡적이나 종적인 사랑은 모두 이 기본
적인 세 가지의 사랑이 확대된 것이다.
사람이 부부의 사랑이나 부모의 사랑이나 자녀의 사랑을 언제 완전하게 느낄 수 있는가 하면, 부모
의 사랑은 내가 자녀일 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자녀를 키울 때 그 보모의 사랑을 느낄 수가
있을 것이다.
부부의 사랑도 젊었을 때 느끼는 사랑은 남녀 간의 사랑의 성격이 더 많으며, 부부로서 느끼는 사랑
은 그 사랑이 지나가고 난 다음에 느껴지게 되어 있는 것 같다.
자녀에 대한 사랑도 마찬가지로 젊었을 때에는 본연의 사랑을 제대로 느껴보지 못하지만
-아마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서 그런 것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의 바탕이 준비가 덜 되어서가 아닌가 -
나이가 들어서 자녀의 자녀를(손자) 보면서 그 사랑을 더욱 더 실체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 세 가지의 사랑을 느끼고 즐길 수 있는 생물학적 시간을 계산해 본다면 25세에서 30세에 결혼
을 하여 자녀를 낳게 되고, 그 자녀가 다시 25년에서 30세에 결혼을 하여 자녀를 낳아서 그 손자가
성년이 되기까지 20년을 합하면 70 세에서 80세 정도가 될 것이다.
이 정도의 나이까지 살면서 다행히 위의 사랑을 다 맛보았다면 이 세상에서 최상의 행복을 누린 사
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사람은 이 세상에 더 이상의 미련을 두거나 더 머물러 있을 욕심을 낼 필
요가 없을 것이다.
지금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다가 보니 부모를 모시는 자녀의 나이가 70이 되는 경우도 있게 된다.
70이 된 자리에서도 부모를 모시는 그 자녀는 위의 내용을 대입해 본다면 그 부모로 인해서 손자를
사랑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이 그의 부모로 인하여 많이 반감되었을 것이다.
조부모의 입장에서 손자가 크는 것을 보는 것이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보람중의 하나이며 가장 큰
즐거움이다.
그러나 그런 즐거움은 거기에서 머물러야 한다.
이 나이를 지나게 되면 가족에서나 사회에서나 이미 짐의 인생이 되는 것이다.
증손자 고손자의 성장을 본다고 오래 산다면 욕심이고 월권이다. 그 증손자는 자녀의 손자이므로 자
녀가 손자의 사랑을 느껴야 할 것이고 고손자는 손자의 손자이므로 느껴야 할 손자의 몫이다.
그 이후부터는 후손의 부담으로 남아서 후손의 무거운 짐이 될 뿐이고, 만약 후손이 경제적으로 넉
넉하지 못한다면 후손에게 더할 나위 없는 죄를 짓게 하는 것이 된다.
2002.5.16
다음은... 구차한 삶의 연장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존엄성을 파괴되는 것
'성찰을 위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명(壽命)에 대한 소고(小考) ....6. 생명은 신의 뜻으로 태어나는가? (0) | 2020.08.27 |
---|---|
수명(壽命)에 대한 소고(小考) ....5.인간도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 (0) | 2020.08.26 |
수명(壽命)에 대한 소고(小考) ....4. 지나친 장수(長壽)는 고통의 시간이 길어짐도 의미한다. (0) | 2020.08.25 |
수명(壽命)에 대한 소고(小考) ....2 . 오래 사는 것이 후회스러울 때가 올 것. (0) | 2020.08.23 |
수명(壽命)에 대한 소고(小考) ....1 . 인간은 얼마나 오래 살면 만족을 할까? (0) | 2020.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