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당산과 태항산(만선산. 대협곡) 트레킹(5)...태항산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마지막) 관광을 하거나 트레킹을 하거나 아니면 두 가지를 섞어서 태항산을 보러 가서 대협곡이나 다른 산들을 보았다고 하더라도 왕망령(王莽嶺)령에 가보지 않았다면 태항산을 갔다왔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말할 수가 없을 것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왕망령에서 조망(眺望)하는 경치는 태항지.. 고무당산 태항산 2017.05.20
고무당산과 태항산(만선산. 대협곡) 트레킹(4)...만선산과 곽량촌 태항산 개념도... 개념도를 알아두지 못하면 무슨 산이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를 알지 못하게 된다. 만선산 개념도..왕망령에서 내려오면 곧바로 만선산이다. 만선산(萬仙山)은 만 명의 신선이 사는 산이라고 붙여진 이름으로 만선산 풍경구는 하남성 신향시 휘현, 태항산대협곡 남부에 자.. 고무당산 태항산 2017.05.18
고무당산과 태항산(만선산. 대협곡) 트레킹(3)...태항산 대협곡의 도화곡과 왕상암 풍경구 태항산 개념도 중국 태항산은 하남성, 하북성, 산서성의 경계에 걸쳐 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내몽고 초원아래 산서성 북부에서 시작하며 태항 대협곡은 남북 600km, 동서 250km로 뻗어 있는 거대한 산군으로 예로부터 “태항산 800리”라고 불려온 이 산맥을 현지인들은 미국의 그랜드캐년을 .. 고무당산 태항산 2017.05.17
고무당산과 태항산(만선산. 대협곡) 트레킹(2)...고무당산(古武當山) 고무당산 위치도 대부분이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서 위에서 트레킹을 한다. 고무당산(古武當山)은 한단 무안시(邯郸 武安市) 태항산맥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어서 동태항산으로 불리기도 한다고 하며 중국의 신화(神話)인 북유기(眞武大帝)의 전설 발원지이고 중국에서 유명한 도.. 고무당산 태항산 2017.05.15
고무당산과 태항산(만선산. 대협곡) 트레킹(1)...시작하며(고차박물관) 청도에서 고무당산으로 가는 길 동네 산악회 회원들과 2013.5.30~6.4일까지 고무당산과 태항산을 다녀온 내용으로 누구나 가는 곳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다녀 온 것을 보는 것이 새로울 것도 없을 것이다. 외국여행이 일상화 되어버린 지금은 집안 식구 중에 누군가 여행을 다녀오면 같이 .. 고무당산 태항산 2017.05.12
꽃보다 라오스(4) .....방비엥 가는길 그리고 남송강의 롱테일보트 남능강의 탕원유원지에서 점심을 먹고 방비엥으로 출발하였다. 비엔티안에서 방비엥까지의 거리는 150㎞정도 떨어진 곳으로 버스로 가면 3시간에서 4시간이 걸리는데 비엔티안을 벗어나면 산악지형으로 2차선 도로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구글지도로 보면 비엔티안에서 루앙프라방까.. 카테고리 없음 2017.04.23
후꾸오까 여행(6)...다자이후 천만궁과 캐널시티(마지막) 숙소에서 다자이후 캐널시티 오늘은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로 다자이후 시에 있는 다자이후텐만궁[太宰府天満宮]을 보기 위해서 출발하였다. 2008년도에도 이 온천여관에서 머물렀었는데 그 때도 출발할 때 버스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었는데 이번에도 버스가 보이지 않을 .. 후꾸오까여행 2017.04.17
후꾸오까 여행(5)...구마도토성과 백제유민들이 세운 국지성 아소산을 출발한지 1시간 반정도 지나서 구마모또에 도착했고 구마모또 성으로 구경을 하러 갔다. 구마모토성(熊本城)은 임진왜란 때 함경북도로 진격했던 왜장 중의 한 사람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등청정)가 1607년에 축성한 성으로 나고야 성 오사카 성과 함께 일본의 3대 성중의 .. 후꾸오까여행 2017.04.15
후꾸오까 여행(4)...세계에서 제일 크다는 아소산의 칼데라(대관봉과 아소산 분화구) 대관봉에서 아소산 분화구를 거쳐서 구마모또 성으로 목장에서 잠깐 쉬고 아소산의 외륜산의 한 곳인 대관봉(일본이름 다이칸보)로 버스를 타고 갔는데 대관봉을 가기 위해서는 평지에서 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이 고개 또한 아소산 외륜산의 일부이다. 대관봉을 가는 길에 아소산의 연.. 후꾸오까여행 2017.04.14
곡기를 끊고 스스로 생을 마감하다....박수를 받을 일인가 비난을 받을 일인가? 아래 글은 2004.11.1일자 신문기사를 보고 썼던 글이다. 한 기사는 자식을 위해서 스스로 그만 살기를 작정을 하고 단식을 하다가 생을 마감했었고 같은 날의 또 다른 기사는 부모에게 효도하기 위해서 결혼하는 것도 포기를 했던 자식의 기사이이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부모와 자.. 세상을 잘 살아가는 이야기 2017.04.13